리치데디의 보물창고

반응형

오늘 공유 드릴 기업은 넥스틴인데요,

​반도체 검사 장비 전문 기업으로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업체입니다.

그럼 같이 한번 살펴보시죠..

기업 개요

이 기업은 시가총액 5,805억 원으로 코스닥 154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소자의 회로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소 패턴 결함을 검출하는 웨이퍼 미소 패턴 결함 검사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전문기술기업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2차원 이미징 기술에 기반한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동사의 제품은 KLA사 장비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객사로 메모리 소자 업체와 비메모리 소자 업체, 국내 업체와 해외 업체 등 다양한 판매처를 확보하여 매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넥스틴-사업분야-검사장비
넥스틴 사업분야 - 검사장비

넥스틴 재무제표 (매출액, 영업이익, 부채비율, EPS, PER, ROE, 배당금, 배당성향)

[매출액]

- 최근 3년 동안 94~494억원의 매출을 일으켰으며, 올해 2분기의 경우 178억원의 매출이 예상됩니다.

[영업이익]

- 최근 3년동안 -18~181억 원의 영업이익을 일으켰으며, 올해 2분기의 경우 62억 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됩니다.

[부채비율]

- 최근 3년간 부채비율은 18~1,183%로 20년 12월에 매우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EPS (주당순이익)]

- 주당 순이익은 작년 12월 기준 2,733원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당 순이익 +라는 의미는 회사가 그만큼 돈을 벌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 주가수익비율은 주식 가격을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인데요,

여기서는 20년 12월 기준으로 32.57배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PER 지수는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ROE (자기자본순이익률)]

- 자기자본으로 얼마의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인데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수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보통의 경우 ROE가 지속적으로 15% 이상 유지하면 기업의 경쟁력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는 20년 12월 기준 62.17%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ROE가 62.17%라는 의미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62.17% 이익을 벌어준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배당금, 배당성향]

이 기업의 경우 별도의 배당정책을 펼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넥스틴-재무제표
넥스틴-재무제표1
출처 : 네이버

 

넥스틴 주가 & 최근 동향

올해 3월 코로나의 영향으로 78,900원까지 하락하였다가 급상승한 이후 주춤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중국의 JHICC에 97억 원 규모의 웨이퍼 인스펙션 시스템 및 Beijing E-town Tech Co.,Ltd.와 60억 원 규모 AEGIS-II 장비 공급을 계약하는 등 활발한 매출 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모습이 향후 이 기업의 주가에 어떻게 반영될지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넥스틴-주가
출처 : 네이버

 

오늘은 넥스틴 관련 기업 정보 및 넥스틴 주가, 실적, 재무제표, 최근 동향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렸는데요,

참고로 제가 올려드린 포스팅은 기업에 대한 분석일 뿐, 투자는 개인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며, 투자로 인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 글은 여기까지 하고요,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