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데디의 보물창고

반응형

오늘 공유 드릴 기업은 포스코인터내셔널 인데요,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는 80여 개의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철강, 에너지, 식량, 화학, 부품소재, 인프라 등 다양한 사업군에서 밸류체인을 구축하며 지속 가능한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그럼 같이 한번 살펴보시죠..

기업 개요

이 기업은 시가총액 3조 4,052억 원으로 코스피 99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00년 12월 대우의 무역부문의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0년 8월 포스코가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지분 68.2%를 취득하여 최대주주가 되었습니다.

수출입업, 중개업, 자원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철강, 비철금속, 화학제품, 자동차 부품, 기계, 선박 및 플랜트, 전기전자, 곡물, 원유 등이 주요 품목입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사업분야-철강
철강

 

포스코인터내셔널-사업분야-에너지
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 재무제표 (매출액, 영업이익, 부채비율, EPS, PER, ROE, 배당금, 배당성향)

[매출액]

- 최근 3년 동안 21~25조원의 매출을 일으켰으며, 올해 2분기는 7.4조원의 매출이 예상됩니다.

[영업이익]

- 최근 3년동안 4,700~6,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일으켰으며, 올해 2분기의 경우 1,449억 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됩니다.

[부채비율]

- 최근 3년간 부채비율은 163~241%로 지속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EPS (주당순이익)]

- 주당 순이익은 작년 12월 기준 1,934원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당 순이익 +라는 의미는 회사가 그만큼 돈을 벌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PER (주가수익비율)]

- 주가수익비율은 주식 가격을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인데요,

여기서는 20년 12월 기준으로 7.52배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PER 지수는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ROE (자기자본순이익률)]

- 자기 자본으로 얼마의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인데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수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보통의 경우 ROE가 지속적으로 15% 이상 유지하면 기업의 경쟁력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는 20년 12월 기준 7.69%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ROE가 7.69%라는 의미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7.69% 이익을 벌어준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배당금, 배당성향]

배당금은 작년 기준으로 주당 700원이 책정되었으며, 배당수익률은 4.81%이고 배당성향은 36.20%로 주주친화적인 성격을 보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재무제표
포스코인터내셔널-재무제표1
출처 : 네이버

포스코인터내셔널 주가 & 최근 동향

이 기업의 경우 우상향의 모습을 보이다가 최근 급상승한 흐름인데요,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두드러지게 실적이 향상된 사업부는 철강 트레이딩 사업부로 철강 시황 호조에 기반한 판매량 증가와 철강 가격 급등을 모두 경험한 것으로 보이면서 올해 상반기 다소 부진했던 미얀마 가스전 실적은 코로나로 지연됐던 페이즈 2 투자가 본격 개시됨에 따라 하반기는 정상화가 기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주가
출처 : 네이버

오늘은 포스코인터내셔널 관련 기업 정보 및 포스코인터내셔널 주가, 실적, 재무제표, 최근 동향에 대한 내용을 공유드렸는데요,

참고로 제가 올려드린 포스팅은 기업에 대한 분석일 뿐, 투자는 개인 스스로 검증된 원칙과 기준으로 직접 진행하셔야 하며, 투자로 인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 글은 여기까지 하고요,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